This is Gentoo's testing wiki. It is a non-operational environment and its textual content is outdated.

Please visit our production wiki at https://wiki.gentoo.org

Handbook:PPC64/Installation/Bootloader/ko

From Gentoo Wiki (test)
Jump to:navigation Jump to:search
This page is a translated version of the page Handbook:PPC64/Installation/Bootloader and the translation is 100% complete.
PPC64 핸드북
설치
설치 정보
매체 선택
네트워크 설정
디스크 준비
스테이지 3 설치
베이스 시스템 설치
커널 설정
시스템 설정
도구 설치
부트로더 설정
마무리
젠투 활용
포티지 소개
USE 플래그
포티지 기능
초기화 스크립트 시스템
환경 변수
포티지 활용
파일 및 디렉터리
변수
소프트웨어 브랜치 함께 사용하기
추가 도구
꾸러미 저장소 개별 설정
고급 기능
네트워크 설정
시작하기
고급 설정
모듈러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기능 추가
동적 관리



커널을 설정했고 컴파일했으며 필요한 시스템 설정 파일의 내용을 올바르게 채워넣었으니, 시스템을 부팅할 때 커널을 실행할 프로그램을 설치할 차례입니다. 이 프로그램을 부트로더라고합니다.

Linux/PPC64에서는 yaBoot 를 부트로더로 사용합니다.

yaboot 사용

도입부

중요
64비트 유저랜드를 활용할 때, yaboot을 64비트로 컴파일할 수 없기 때문에 sys-boot/yaboot-static 꾸러미를 사용해야합니다. 32비트 유저랜드에서는 일반 yaboot 꾸러미를 사용해야합니다.

부팅 장치를 찾으려면, yaboot에서는 시스템 시작시 udev가 만든 장치 노드와 sysfs 파일 시스템에 접근해야합니다. 이들 두가지 파일 시스템은 각각 /dev//sys/에 있습니다. 설치 초반에 이들 위치는 이미 chroot에 bind 마운트되어 있습니다.

중요
yabootcofig/ybin은 IBM에서 동작하지 않습니다.IBM 하드웨어에 yaboot 사용을 참고하십시오.

yaboot를 설정하려면, yabootconfig를 사용하여 설정 파일을 자동으로 만드는 방법을 활용하거나 부트로더를 직접 설정하는 방법을 활용합니다. (항상 yabootconfig가 동작하는건 아닌)G5에 젠투를 설치하거나, 시스템을 부팅할 때 FireWiare나 USB가 필요하다면 yaboot를 직접 설정하는 과정이 단연 필수입니다.

기본: yabootconfig 사용

yabootconfig는 머신의 파티션을 자동으로 찾고 리눅스, Mac OS, Mac OS X의 둘 내지 세가지의 부팅 수단 조합을 설정합니다.

yabootconfig를 사용하려면, 드라이브에 부트스트랩 파티션이 있어야 하며, /etc/fstab에 리눅스 파티션을 반영하여 설정해야합니다(부트스트랩 파티션은 fstab 파일에 있으면 안됩니다). 이 과정이 우선 끝났어야 하지만, 진행하기 전에 /etc/fstab을 확인하십시오. 이제 yaboot를 설치하십시오.

32비트에서는:

root #emerge --ask sys-boot/yaboot

64비트에서는:

root #emerge --ask sys-boot/yaboot-static

이제 yabootconfig를 실행하십시오. 우선 부트스트랩 파티션의 위치를 확인하십시오. 제안하는 디스크 파티션 형태를 활용한다면, 부트스트랩 파티션은 /dev/sda1이(가) 되어야합니다. 출력 내용이 올바르다면 Y 를 누르고 그렇지 않으면 /etc/fstab 파일을 다시 확인하십시오. 이 과정이 끝나면 yabootconfig에서 시스템 설정을 검색하므로 /etc/yaboot.conf를 만들고 mkofboot를 실행하십시오. mkofboot는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포맷하고 yaboot 설정 파일을 여기에 복사할 때 사용합니다.

/etc/yaboot.conf의 내용을 확인하십시오. /etc/yaboot.conf에서 바뀐 내용을 가릴 때(default/boot OS 설정), ybin -v를 다시 실행하여 부트스트랩 파티션의 바뀐 내용을 반영했는지 확인하십시오.

대안: yaboot 직접 설정

먼저, yaboot를 시스템에 설치하십시오

32비트에서는:

root #emerge --ask sys-boot/yaboot

64비트에서는:

root #emerge --ask sys-boot/yaboot-static

yaboot.conf 파일 예제를 아래에 보여드리겠습니다만 개인 취향에 따라 바꿔야합니다.

파일 /etc/yaboot.conf설정 예제
## /etc/yaboot.conf
##
## run: "man yaboot.conf" for details. Do not make changes until you have!!
## see also: /usr/share/doc/yaboot/examples for example configurations.
##
## For a dual-boot menu, add one or more of:
## bsd=/dev/sdaX, macos=/dev/sdaY, macosx=/dev/sdaZ
  
## our bootstrap partition:
  
boot=/dev/sda3
  
## ofboot is the Open Firmware way to specify the bootstrap partition.
## If this isn't defined, yaboot fails on the G5 and some G4s (unless 
## you pass the necessary arguments to the mkofboot/ybin program).
## hd:X means /dev/sdaX.
  
ofboot=hd:2
  
## hd: is Open Firmware speak for sda
device=hd:
  
delay=5
defaultos=macosx
timeout=30
install=/usr/lib/yaboot/yaboot
magicboot=/usr/lib/yaboot/ofboot
  
#################
## This section can be duplicated if you have more than one kernel or set of
## boot options - replace kernel-3.16.5-gentoo with your kernel
#################
image=/boot/kernel-3.16.5-gentoo
  label=Linux
  root=/dev/sda3
  partition=3
  read-only
  
macos=hd:13
macosx=hd:12
enablecdboot
enableofboot

yaboot.conf을 설정하고 나면 mkofboot -v를 실행하여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포맷하고 설정 내용을 설치하십시오. 부트스트랩 파티션을 만들고 나서 yaboot.conf의 내용이 바뀌었다면 ybin -v를 실행하여 설정을 업데이트하십시오.

root #mkofboot -v

yaboot에 대해 더 알아보려면, yaboot 프로젝트의 내용을 살펴보십시오.

IBM 하드웨어에 yaboot 사용

IBM 하드웨어에서는 yabootconfig 또는 ybin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다음 단계를 따르십시오.

  • yaboot-static을 설치합니다
  • dd if=/usr/lib/yaboot/yaboot.chrp of=/dev/sdXX를 실행합니다(XX는 PReP 파티션의 디스크와 파티션입니다. 예제에서는 /dev/sda1 였습니다)
  • 다음 yaboot.conf 파일을 만들어 /etc/에 넣습니다.(위 설정, yaboot.conf 의 맨 페이지, 아래의 yaboot.conf 예제 중 하나를 살펴보십시오)
  • OF의 부팅 장치가 PReP 부트 파티션을 활성화 한 하드 드라이브를 가리킨다면 동작하는 상태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IPL 타임에 다중 부팅 메뉴로 들어가서 PReP 부트 파티션으로 부팅 장치를 설정하십시오

다 됐습니다!

파일 yaboot.confIBM hardware의 yaboot.conf 예제
device=disk:
partition=2
root=/dev/sda3
default=linux
timeout=50
  
image=/boot/kernel-3.16.5-gentoo
    label=linux
    append="console=ttyS0,9600"
    read-only

POWER4, POWER5, PReP 디스크 파티션이 있고 동일한 위치에 커널에 있는 블레이드 기반 하드웨어에서는 yaboot.conf를 단순하게 만들어 쓸 수 있습니다. 다음 설정 정도면 충분합니다:

파일 yaboot.confPReP 하드웨어용 yaboot.conf
default = linux
timeout = 100
image=/boot/kernel-3.16.5-gentoo
        label=linux
        read-only
        root = /dev/sda3
        append="root=/dev/sda2"

yaboot을 PReP 파티션에 복사했는지 확인하려면:

root #dd if=/dev/sda1 count=10 | grep ELF
Binary file (standard input) matches
10+0 records in
10+0 records out

내용이 일치함은 yaboot을 제대로 설치했다는 뜻입니다.


시스템 다시 부팅

chroot로 진입한 환경을 빠져나가고 모든 파티션의 마운트를 해제하십시오. 그 다음 대미를 장식할 마법의 명령을 입력하여, 실제로 시험해보십시오: reboot.

root #exit
cdimage ~#cd
cdimage ~#umount -l /mnt/gentoo/dev{/shm,/pts,}
cdimage ~#umount -R /mnt/gentoo
cdimage ~#reboot

물론 부팅 CD를 제거하는걸 잊지 않으면 새 젠투 시스템 대신 CD로 부팅합니다.

새로 설치한 젠투 환경으로 다시 부팅하고 나면, 젠투 설치 마무리로 끝내십시오.